티스토리 뷰

제로 코로나에 지친 중국인 민심이 폭팔하면서 중국에서는 다수가 모여 정부 정책을 규탄하는 시위가 발생하는 등 여려 영향을 주었고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완화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내년 2분기 빠르면 1분기에 리오프닝이 가능하다고 전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관련되 기업들에 수혜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화장품, 면세, 항공 등이 섹터가 수혜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목차

    1. LG생활건강

    • 동사는 2001년 4월 주식회사 LG화학에서 분할 신설되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화장품 및 생활용품, 음료 등을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궁중 브랜드 '후', 천연발효 브랜드 '숨', 피부과학 브랜드 '오휘', 허브 브랜드 '빌리프'와 같은 경쟁력 있는 럭셔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음. 주요 종속회사인 코카콜라음료(주)는 비알콜성음료를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4% 감소, 영업이익은 44.5% 감소, 당기순이익은 50.9% 감소.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감소와 함께 판관비도 감소했지만 원가율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함. 동사는 더운 여름이 성수기인 Refreshment 사업과 춥고 건조한 계절이 성수기인 Beauty 사업은 상호 보완하여 매출의 연중 변동성을 축소하고 있음.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2. 하나투어

    • 동사는 일반여행업(여행알선) 및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등의 서비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할 목적으로 1993년 11월 1일에 설립됨. 전세계 20여만 개 여행상품을 전국 8,000여개의 협력여행사, 온라인포털, 쇼핑몰 등의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종합 여행 홀세일러. 종속회사를 통하여, 특화된 시장을 위한 여행알선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해외를 거점으로 한 서비스제공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1.5% 증가, 영업손실은 7.5% 감소, 당기순손실은 180.2% 증가. 여행 업황 회복과 동사의 구조조정 효과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여 영업손실 축소 규모가 기대 대비 낮았음. 코로나 재확산, 고환율의 영향으로 소비 심리 위축으로 주춤할 수 있으나, 점진적 노선 확대와 패키지 가격 경쟁률이 재부각되며 점유율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3. 호텔신라

    • 동사는 TR부문, 호텔&레저부문으로 2개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TR 부문은 국가로부터 관련 사업권을 취득하여, 외국인 방문객 및 내국인 해외출국자를 대상으로 외국의 유명 브랜드 상품 및 토산품을 주요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음. 호텔&레저 부문의 호텔 부문은 외국인 관광객 및 내국인을 대상으로 숙박, 식음, 연회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레저부문은 레포츠 및 여행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7% 증가, 영업이익은 9.4% 감소, 당기순이익은 228.4% 증가. TR 부문은 7월 이후 코로나 정책 완화로 인한 해외 입국객 수가 증가하였으나 고환율과 할인, 프로모션 등의 마케팅으로 비용 증가하여 부진하였음. 코로나 정책 완화와 여름 성수기로 인하여 호텔/레저 부문의 매출액,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4. 진에어

    • 항공항공운송산업에 속한 회사이며, 현재 항공기를 이용한 운송 서비스를 주요 상품으로 하여 소비자에게 판매 중. 9월말 기준 당사는 리스계약을 통하여 BOEING 737-800 19대, BOEING 737-900 2대, BOEING 737-8 1대, BOEING 777-200 4대, 총 26대를 보유. 동사는 예약, 발권 등의 기능을 통해 생산과 판매가 일어나는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재고가 잔존하지 않는 사업형태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9.3% 증가, 영업손실은 48.6% 감소, 당기순손실은 44.5% 감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매출 대폭 증가했으나 적자 여전히 유지 중. 다만 영업손실폭과 당기순손실폭은 전년 대비 감소. 4분기에는 트윈데믹, FOMC의 지속적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 등 위협과 함께 일본, 대만 등 각국의 입국 제한 폐지/완화로 관광시장 회복 가능성 등 기회 요인이 공존할 것.

     

    5. 아모레퍼시픽

    • 동사는 화장품법 등에 근거하여 화장품의 제조 및 판매 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6년 6월 1일에 (주)아모레퍼시픽그룹(舊 (주)태평양)을 인적분할하여 설립 (설립등기일 : 2006. 6. 7.)됨. 사업부문은 크게 화장품 사업부문과 DB(Daily Beauty) 사업부문으로 구분되어 있음. 화장품 사업부문은 설화수, 헤라, 아이오페, 한율, 라네즈, 마몽드 등 다양한 럭셔리 및 프리미엄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9% 감소, 영업이익은 50.5% 감소, 당기순이익은 53.1% 감소. 2022년 3분기 누계 기준 경로별 매출 비중은 순수 국내 50%, 면세 15%, 해외법인 및 수출은 35%임. 제품에 환경 또는 사회 친화적 속성을 구현하고, 고객의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영위에 기여하는 브랜드 활동을 전개함. 또한 기후 위기를 해결하고 대자연과 공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6. 신세계인터내셔날

    • 신세계 그룹 내 종합생활문화기업으로서 해외 유명 패션 브랜드를 국내에 직수입하여 우량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여성복 등 캐주얼 브랜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기획, 유통함. 해외 력셔리 및 자체 코스메틱 브랜드를 기획, 생산, 유통하는 코스메틱부문에서도 사업을 전개 중. 2022년 3분기 기준 매출은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 부문 75.7%, 코스메틱 24.3%로 구성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 증가, 영업이익은 55% 증가, 당기순이익은 45.6% 증가. 수입 브랜드와 자체 패션 브랜드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안정적 시장 점유율을 확보함에 따라 실적 성장세를 이끌었음.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됨에도 성장 가능성 높은 해외 패션 및 코스메틱 브랜드의 신규 도입을 진행하고 있으며, 럭셔리 코스메틱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

     

    7. 토니모리

    • 동사는 2006년 7월 설립된 화장품 브랜드샵 전문기업으로 기초 및 색조 화장품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동사와 11개의 연결회사를 통해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반려동물 간식의 제조 및 판매와 신기술사업금융업을 영위함. 프랑스 '이브 비건'에서 인증받은 '백젤 아이라이너Z'와 100% 재활용 가능한 무라벨 용기를 사용한 제품을 출시하면서 친환경 가치 실천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 증가, 영업손실은 17.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화장품 매출액은 증가하였으나, 원가와 판관비도 증가, 자회사 실적도 대부분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 일회성으로 종속기업투자주식처분이익으로 흑자전환 Tune9 '내추럴 체인지 컬러 샴푸'의 신제품효과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및 야외 마스크 의무해제로 인한 색조메이크업의 판매 증가가 예상되고 있음.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8. 현대바이오랜드

    • 동사는 1995년 9월, 천연물을 이용한 의약품,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원료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1년 5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성장하는 천연 기능성 소재 시장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천연소재 발굴을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최신 트렌드에 따라 HA BEADS, 차세대 콜라겐, NEWAPLE, DERMABIOTICS, HAIRCLE 등 다수의 신제품 개발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이익은 4.3% 감소, 당기순이익은 26% 증가. 화장품 원료 매출액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면역 등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급증으로 건기식 원료 매출이 증가함. 현대백화점 그룹의 글로벌 역량 공유 및 동사 중국법인과 중국 현지 대리점을 활용한 판매 루트 다각화 등을 통해 성장하기 위해 노력중임.

     

    9. 현대백화점

    • 2002년 11월 현대그린푸드의 백화점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설립되었음. 동사는 백화점업과 면세점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아울렛 사업 등 신규사업 또한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음. 21년 2월 더현대서울을 신규 오픈하였으며, 2025년 현대시티아울렛 청주점 출점을 계획하고 있음. 2022년 6월 매트리스, 베개 및 가구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는 (주)지누스를 인수하여 가구 제조 부분이 주요 사업으로 추가되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8% 증가, 영업이익은 48.3% 증가, 당기순이익은 15.1% 증가. 신규 출점 효과가 컸던 지난해의 높은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부유층과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고급품 시장 강세에 따른 백화점 업황 호조로 좋은 실적을 이어감. 3분기부터 지누스 실적이 연결에 편입되었으며, 23년 3월 1일에 신설법인인 현대백화점홀딩스와 존속법인인 현대백화점으로 인적분할할 예정임.

     

    10. 롯데쇼핑

    • 지배회사인 동사는 1970년 7월 2일 백화점 경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22년 기준 총 36개의 종속회사가 있음. 사업부문은 백화점 사업부문, 할인점 사업부문, 전자제품전문점 사업부문, 슈퍼 사업부문, 홈쇼핑 사업부문, 영화상영업 사업부문, 이커머스 사업부문, 기타 사업부문으로 세분화 됨. 2022년 매출액 기준 백화점 부문 20.04%, 할인점 부문 38.36%이며, 전자제품전문점 부문 22.27%를 차지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9% 감소, 영업이익은 198.2%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백화점은 기존 고객관리 강화와 더불어 타겟별 소비트렌드에 기반한 신 업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등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며 시장 규모를 성장시킬 것으로 예상. 주력 사업인 백화점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고 자회사 컬처웍스 역시 업황 회복에 따라 전년 동기대비 5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 회복을 보임.

     

    11. 그래디언트 (인터파크)

    • 동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주회사는 아니나 자회사에 대한 지원 및 관리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MRO(산업용소모자재) 전자상거래 사업을 영위하는 아이마켓코리아를 종속회사로 포함하고 있음. 아이마켓코리아, 안연케어, 큐브릿지, 테라펙스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2022년 3분기 매출은 전자상거래업 81.12%, 바이오헬스케어 15.83%, 기타 사업 0.56%로 구성됐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8% 증가, 영업이익 5,992.2% 증가, 당기순이익 1,562.1% 증가함.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의 흑자전환에 성공함. 동사의 전자상거래 및 관련사업 부문을 2022년 4월 1일을 기준일로 하여 물적분할 후 2022년 4월 29일자로 신설된 법인 주식의 70%를 매각함.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실시간 주가 확인

     

    댓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