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감기약 관련주

중국발 코로나 확산세가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국내 거주 중국인들 중 일부는 한국에서 감기약을 대량으로 구매한 뒤 중국으로 보내 친인척에게 전달하거나 팔아서 시세차익을 남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면서 감기약이 다시 품귀 현상을 빚으면서 감기약 관련주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목차

    1. 대원제약

    • 동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이며, 신약/개량신약/제네릭의약품 등을 국내 병/의원/약국을 대상으로 공급하고 있음. 선진 GMP급 생산시설과 특화된 제품력을 기반으로 국내 유수의 제약기업의 의약품을 생산/납품하는 수탁(CMO) 사업과, 세계 시장에 완제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을 수출하는 해외사업을 영위. 국내 최초의 짜먹는 감기약 콜대원으로 대표되는 일반의약품 사업 진행 중.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7% 증가, 영업이익은 344.2% 증가, 당기순이익은 2,237% 증가. 제62기 3분기 주력생산제품인 펠루비, 코대원포르테/에스, 에스원엠프, 알포콜린, 오티렌, 리피원의 생산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약 53.0% 증가하였음. 이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생산량 증대 및 엔데믹에 따른 호흡기 질환의 재유행에 기인함.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2. 국제약품

    • 동사는 1959년 설립되어 1975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여 케이제이케어를 포함한 6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음.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법인으로서, 대표적으로 큐알론점안액, 타겐에프연질캅셀, 에제로바정, 콜렌시아연질캡슐, 국제세파제돈주 등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 등을 취급. 전국 각 지점 영업사원들의 영업활동을 통해 약국, 의원, 병원, 도매상 등의 거래처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1% 증가, 영업이익은 144.8% 증가, 당기순이익은 168.3% 증가.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의 비용 부담이 커졌지만 매출 증가폭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 후 방역 규제가 풀리며 유럽 및 중국 등지에서 항생제 및 해열제의 품귀 현상이 나타나면서 동사의 수혜가 기대됨.

     

    3. 일양약품

    • 동사는 1946년 설립되어 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놀텍, 슈펙트, 하이트린, 원비디 등이 있음. 동사의 신약 항궤양제 '놀텍'은 위십이지장궤양 및 위궤양으로 국내 14번째 신약으로 허가를 받은 이후 역류성식도염 및 H.pylori 제균요법 적응증을 추가하였음. 수출을 통한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WHO PQ승인을 완료하였으며, 여러 국가에 완제품 및 원료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증가, 영업이익은 23% 증가, 당기순이익은 61.2% 증가. 국산 14호 신약인 항궤양제 "놀텍", 국산 18호 신약 백혈병 치료제 "라도티닙", 4가 플루 백신 "테라텍트프리필드 시린지주" 등 전문의약품의 매출 성장과 중국 양주, 통화 현지 법인의 지속적인 성장을 일굼. 인플루엔자 백신의 해외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4. 삼일제약

    • 동사는 1947년에 설립된 의약품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회사로 어린이부루펜시럽, 티어실원스, 아이투오미니 등으로 잘 알려진 중견 제약회사임. 안과, 간질환, 소화기계에 특화된 전문의약품 중심으로 오리지널 품목의 기술도입·생산 및 특허가 만료된 제네릭 제품을 직접 생산 판매하는 제품 매출이 있음. 오리지널 제품을 직수입 및 국내 독점 판매하는 상품 매출 또한 사업구조 중 하나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3% 증가, 영업이익은 171.8% 증가, 당기순손실은 16.1% 감소. 베트남에 2022년 4분기 완공을 목표로 cGMP 및 EU-GMP 수준의 글로벌 안과 CMO 공장을 건설중. 'Galmed사'와 비알콜성 지방간염 신약(NASH) 'Aramchol' 및 'Biosplice사'와 골관절염 치료제 신약 'Lorecivivint' 국내 판매권에 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

     

    5. 한미약품

    •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아모디핀), 복합고혈압치료제(아모잘탄) 등이 있음.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를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 NASH 치료제 HM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확보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 영업이익은 44.2% 증가, 당기순이익은 27.8% 증가. 복합고지혈증치료제 '로수젯',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역류성식도염치료제 '에소메졸' 등이 주요제품으로 지속적인 수요에 따라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 해외쪽은 복합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을 출시할 예정으로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는 한국 한미약품 주식회사와 R&D네트워크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신약 개발을 진행중임.

     

    6. 하나제약

    • 동사는 1978년 전신인 우천제약으로 설립되어, 1996년 하나제약으로 상호 변경하였음. 다년간 마약성진통제, 마취의약품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순환기의약품, 진통제 등 350여개의 다양한 의약품을 통해 전방위적인 전문의약품 사업을 하고 있음. 또한 난용성 약물 서방화 기술, 확산제어형 서방화 기술, 복합제제 제조 기술, OROS제제 기술과 관련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신약 개발에도 정진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5% 증가, 영업이익은 5.9% 감소, 당기순이익은 16.7%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함. 동사 매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마약류 및 마취제 의약품의 경우에는 진입장벽이 높아 매출안정성이 높은 시장임. 여기에 업계 최고 수준의 제품라인업과 생산 경쟁력 및 R&D 인프라에 힘입어 지속적 매출 성장이 예상됨.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7. 제일파마홀딩스

    • 동사는 2017년 인적분할을 하였고, 분할전회사인 제일약품이 보유한 자회사 및 관계회사 지분 모두를 보유하며 이에 따른 지분법이익 및 자회사 관리 그리고 투자자산에 대한 임대업을 주된 영업으로 하고 있음. 종속회사 제일약품의 주요제품은 리피토, 리리카, 쎄레브렉스, 네시나 등이며, 제일헬스사이언스의 주요제품은 케펜텍, 쿨파프 등이 있음. 종속회사 제일앤파트너스는 제일약품의 완제의약품의 판매대행을 주된 영업으로 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 증가, 영업손실은 24135.3%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늘었고 판관비와 인건비 등의 부담이 커지면서 영업손실이 큰 폭으로 확대됨. 영업손실 폭이 커지면서 이자비용 등의 부담이 지속되어 당기순손실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확대됨.

     

    8. 일동제약

    • 동사는 의약품, 의약품 원료, 건강보조식품 및 특수영양식품의 제조 및 판매 사업 등을 주로 하고 있음. 주요 생산 품목인 의약품에는 활성비타민인 아로나민류, 항생제인 후루마린 등이 있음. 동사는 제7기 반기말 기준 매출액의 약 19.4%에 해당하는 93,731백만원의 연구개발비용을 지출하고 있고, 안질환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등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4% 증가, 영업손실은 35.8% 증가, 당기순손실은 1368.2% 증가.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 인건비는 소폭 감소했으나 비용 부담으로 인해 영업적자 폭이 확대됨. 동사의 당뇨병 치료제는 2022년 3분기 건강인 대상 임상 1상을 완료. 현재 효력적 탐색을 위한 환자 대상의 임상1상 시험을 준비중이며, 2022년 4분기 내 개시가 목표.

     

     

    기업분석 재무분석 확인하기

    실시간 주가 확인

     

    댓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