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포스팅을 쓰다 보면, 맞춤법이나 띄어쓰기가 제대로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땐 맞춤법 검사기를 이용해서 문법오류나 오타등을 수정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각종 맞춤법 검사기를 쓸 때 마다, 제가 참고하려고 만들기도 하고 자주 쓰이는 맞춤법 검사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당신의 궁금한 모든것을 알려드리는 원잇(One-IT) 입니다.
맞춤법 검사기 중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사람인/인크루트/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가장 추천하는 맞춤법 검사기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오래전부터 잘 활용되고 있던 맞춤법 검사기 입니다. UI도 간단하여 쉽고 간편하게 맞춤법 검사를 하실 수 있습니다. 알단 하얀란에 검사할 문장을 쓰거나, 붙여 넣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검사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부산대학교에서 만들어서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라고도 불립니다.
왼쪽에는 교정할 문장의 내용과 맞춤법을 교정한 텍스트를 동시에 쓰여 있으며, 오른쪽에는 각각 교정할 텍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옵니다.
교정할 텍스트는 두가지 형태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왼쪽 창에서 선택할 경우 빨간색 글씨를 선택하면, 내가 그대로 입력한 텍스트를 사용하는 것이고, 회색글씨를 선택하면 해당 글씨로 교정이됩니다. 또한 오른쪽 창에서는 입력 내용쪽을 클릭하면 그대로 원문을 유지하며, 대치어를 선택시 변경이 됩니다. 또한 직접 수정을 통해 내가 원하는 텍스트로 적용이가능합니다.
그리고서는 원문 복사를 하시면, 교정이 된 텍스트가 복사가 되고, 복사하려는 곳에 가져다가 붙여넣어주시면 됩니다.(Ctrl + V)
2.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맞춤법 검사기는 간단하게 바로 검색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500자 이내의 텍스트만 맞춤법을 검사할 수 있어서 다량의 텍스트를 검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시간이 없을 때, 짧은 텍스트를 사용할 때 이용하시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원하시는 텍스트를 입력하고 검사하기 버튼을 눌러주십니다.
그러고나면 자동적으로 맞춤법을 검사하고 교정한 내용이 나옵니다. 일일이 하나씩 선택하여 변경하는 경우가 아니 자동적으로 다 변경돼서 나오기에, 디테일한 교정보다는 쉽고 빠른 교정용으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우측 하단에 네모 버튼을 누르면 교정된 텍스트가 복사가 되며, 복사된 내용을 원하시는 곳에 붙여 넣으시면 되겠습니다.
3.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
각종 취업전문사이트에서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합니다. 이력서나 문서들을 많이 써야하는 분들이면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바로 텍스트를 넣어주면, 공백을 계산 해주고, 검사 시작 버튼을 눌러주면 맞춤법 검사가 시작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를 추천합니다. 사실 국립국어원이나, 네이버는 사용법이 조금 불편하거나, 한계점이 있는데 이건 모든 기능을 포함한다는 생각이 됩니다. 다음과 같이 왼쪽에는 원문을 표시해주며, 우측에는 맞춤법 검사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우측 상단에 [일괄 수정]을 누르면 한번에도 수정이 가능하며, 각각 맞춤법을 버튼을 눌러 수정도 가능합니다. 수정 전에는 주황색 글씨로 나타나며, 수정을 하게 되면 파란색 글씨로 변하는걸 알 수 있습니다.
맞춤법이 끝나면, 전체 복사를 눌러서 텍스트를 붙여 넣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4.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
잡코리아도 사람인과 같은 기능을 모두 지원합니다. 다만 UI가 불편하여 수정하기가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추천 드리지는 않습니다. 링크는 남겨 둘테니 필요하시다면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인크루트 맞춤법 검사기
역시 인크루트도 맞춤법 검사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잡코리아처럼 UI 구성이 별로여서 추천 드리지는 않습니다.
모두 수정 버튼으로 한번에 수정이 가능하고, 주황색 글씨를 선택하면 한개씩 수정도 가능은 합니다. 다만 한눈에 들어오지않는 수정법으로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자주 사용되는 맞춤법 검사기를 알아봤습니다. 본문에서 계속 언급 드렸듯이,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가 가장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UI를 가지고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였습니다. 간단하게 사용할땐 네이버도 사용하긴 하는데, 그래도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를 가장 추천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이만 뿅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