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팀 전용 게임을 하다보면 가끔 steam_api.dll 이 없어서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이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런 시스템 오류가 났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아 보겠습니다. steam_api.dll 오류 해결 하기 먼저 아래에 첨부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그런뒤 C드라이브에 있는 Program Files 폴더로 갑니다. (혹시나 없는 분은 Program Files(x86)으로 들어가세요) 그다음에 steam -> steamapps -> common -> stardre valley 폴더 순으로 들어가서, 아까 받아두었던 steam_api.zip에 압축을 풀어서 steam_api.dll 파일을 넣어 줍니다. 이렇게 steam_api.dll 파일을 추가하고 나면 정..

프로세스 목록에 있는 yourphone.exe는 윈도우10 레드스톤 5부터 생긴, PC와 스마트폰 간의 파일 동기화 프로그램 '사용자 휴대폰 도우미' 관련 프로세스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PC스마트폰 파일 동기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yourphone.exe 중지 방법 사용자 휴대폰 도우미는 사진과 문자의 동기화를 해주고, PC에서 사진이나 문자 정도만 확인하시고 싶은 분들에게는 유용하겠지만, 워낙 동기화 프로그램이 따로 잘되있어서 사용하시는 사람이 있을까 싶습니다. 사용자 휴대폰 도우미를 사용할 계획이 없으시다면, 백그라운드에서 메모리 리소스만 차지하고 있는 필요없는 프로세스기에 중지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시작에서 톱니바퀴모양의 설정을 선택하여 줍니다. 개인 정보를 선택하여..

CTF Loader의 정체? 삭제 방법 CTF Loader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10을 설치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한글 입력기 관련 서비스 입니다. 헌데 이 프로세스가 각종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로 인해, CPU와 메모리를 과점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이럴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아래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TF Loader 프로세스 위에 이미지에 보시는바와 같이, CPU 0%, 메모리 4.6MB의 상태라면 정상적인 상태 입니다. 허나 문제가 생긴다면, CPU 점유율이나 메모리 점유율이 급격하게 올라가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v3나 알약과 같은 백신 치료를 통해, CTF Loader의 걸려 있는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를 치료해야합니다. 만약 이것도 안되면, 서비스 항목에서 터..

runtime broker는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는 아니며, 윈도우 스토어의 앱에 대한 PC의 사용 권한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작업관리자의 윈도우 프로세스중에 하나 입니다. 일반적으론 20~40MB 정도의 메모리만 사용하게 되는데, 유니버셜 앱을 실행했을 때 순간적으로 점유율이 올라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합니다. runtime broker 점유율이 올라가는 현상 해결방법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식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면, runtime broker의 평소 메모리 사용이 15% 이상을 점유하는 경우 PC에 문제가 있거나 악성코드,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최대 1GB 이상도 사용을 한다고 합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시 일단 작업관리자에서 runtime bro..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가끔 엄청 느려지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오늘은 그 증상 중에 하나의 원인이 webhelper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webhelper ? 컴퓨터로 토렌트를 설치해서 다양한 토렌트 파일들을 다운을 받으신적이 있나요? 그런데 이 토렌토를 사용하다보면 webhelper라는 프로세스가 함께 동작을 하게 됩니다. 이 webhelper 프로세스가 윈도우 상에 실행되면 갑자기 CPU를 100% 다 사용하게 되면서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webhelper는 애드워드로 uTorrent를 사용 시에 계속 광고를 띄워주는 역할을 하는데, 계속 광고를 띄우는 것도 안좋지만 CPU와 메모리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서 컴퓨터에게 악영향을 끼칩니다. webhelper 삭제 및 자동실행 방지 방법 첫..